본문 바로가기

펀드비용2

펀드 해약해야 하나? 추가매수 시점인가? 오늘 아침에 환율과 주가를 보면서 끝은 어딜까란 생각을 해봤다. 그래도 지금까지 효자노릇을 했던 부자아빠 3억만들기 국내펀드 수익율도 오늘부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아직은 1%대의 마이너스라 괜찮지만, 다른펀드이 빠진것만큼 안빠져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중국펀드인 베트남차이나 펀드는 벌써 -34%를 기록하고 있었다. 회복이 가능할까란 생각도 해보고 하지만 장기로 보자라는 와이프의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 펀드환매보다 장기로 가야 된다는 주장을 받아들였다. 세상이 모두 NO라고 할때 Yes라고 말할 수 있어야 된다고 생각한다. 요즘 펀드환매자들이 창구로 몰려 대량환매 사태가 발생할수도 있다란 기사를 봤다. 그럼 모두 펀드환매할때 펀드를 사야되지 않을까? 지금 생각하고 있는 펀드가 브릭스 펀드인데. 이.. 2008. 10. 10.
펀드 비용 재대로 알자 펀드에 가입한 사람이 부담하는 비용을 크게 두개로 나눈다. 수수료 & 보수 수수료는 선취수수료,환매수수료등 일회성인 반면에 보수비용은 총금액에 대해서 일정%로 정해진 금액을 1년 365일로 나눠서 매일매일 부과되는 비용이다. 수수료에는 펀드에 가입하는 시점에 판매사가 미리 떼는 선취판매수수료와 약정된 기일 이전에 펀드를 해지할 때 내는 환매수수료가 있다. 보수는 운용보수와 판매보수, 수탁보수, 사무보수 등으로 나뉜다. 운용보수는 펀드를 직접 운용하는 자산운용사의 몫이고 판매보수는 증권사나 보험사, 은행 등 펀드를 판매하는 금융회사가 가져간다. 수탁보수는 고객의 투자자금과 펀드에 편입된 주식, 채권 등 유가증권을 보관하는 회사에 돌아가고, 사무보수는 펀드의 기준가를 관리하는 사무관리회사에 내는 것이다. 국.. 2008. 1. 2.